2022년 8월 3일 - 4일
2022년 8월 3일 - 4일
이번 행사는 8월 3일과 4일 동안 현지 참석과 비대면 참석으로 진행된다.
장소: 빅토리아 스퀘어 플린더스 대학, 182 빅토리아 스퀘어, 애들레이드, Room 1 (Level 1)
장애 고용 정책 혁신에 관한 호주-한국 교차 문화 컨퍼런스는 호주 외교통상부 내 호주-한국 재단의 2022 지원사업으로 선정되어
플린더스 대학교의 사회 영향 센터(CSI) 플린더스가 주최하고 한국 장애인 고용 진흥원(KEAD)과 협력하여 개최한다.
이번 행사의 주제:
• 다른 관할권의 장애 고용정책
• 장애인 근로자를 위한 접근 가능하고 포괄적인 작업 환경
• 장애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고용 모델
행사 참여
행사
2022년 8월 3일 | 9.00am - 3.30pm, ACST
9.00 am – 9.30 am: 개회식
10.30 - 11.00 am: 호주와 한국의 장애인고용 정책
11.00 am – 12.30 pm: 장애인 고용의 접근성
2.00 pm – 3.30 pm: 장애인 고용의 포용성
2022년 8월 4일 | 11.30am - 1.00pm, ACST
11.30 am – 1.00 pm: 장애인 고용의 혁신
행사 주관
이안 구드윈 교수/이사
플린더스 대학 사회영향력 연구센터 (Centre for Social Impact)
이안 구드윈 교수는 플린더스 대학의 사회 행정 경제학과 교수이자 사회영향력 플린더스 연구센터의 이사이다. 사회 서비스 개선, 시스템 개혁 및 사회 정책과 관련된 연구 및 평가에 대한 광범위한 경험을 가진 전문가로서, 산업 및 지역 사회 이해 관계자와 협업 , 파트너십을 통한 연구 센터 운영 및 집중 관리에 경험이 있는 연구 리더이다. 호주의 중앙정부, 각주 정부 및 비정부 조직, 지역사회의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해 온 경험을 갖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다양한 국가 및 대도시와의 원격 인터넷으로 연구 파트너십에 대한 오랜 경력과 실적을 갖고 있다. 대규모 연구 및 평가 프로젝트를 공동 설계, 관리하고 다양한 이해 관계자 그룹과 여러 부문에서 함께 일한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이다.
윤정형 연구원
플린더스 대학 사회영향력 연구센터
윤정형 연구원은 장애인고용관련 경영학 박사과정 학생이자 사회영향력 플린더스 센터의 연구원으로서 호주와 한국 간의 이종 문화 연구 프로젝트의 개념을 구축하고, 양국의 관련 기관과 연결하여 프로젝트의 원활한 추진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는 호주와 한국에서 장애인 고용 및 무료 학교 급식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및 지적장애와 같은 인지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사회 경제적 통합 지원이 원활하도록 포용적이며 혁신적인 작업 환경을 구축하는 데 연구의 중점을 두고 있다. 주된 연구 관심 분야는 장애인 고용, 사회적 기업 경영, 포용적 기업 문화 및 다른 국가의 사회 복지 및 장애 관련 정책에 관한 분야이다.
한국 공동주최 파트너
고용노동부 산하 기관으로 장애인 고용의 선도 기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1990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6개 지역본부, 14개 지사, 5개 직업능력개발원 , 27개 연수원, 보조기술센터에 1,300명 이상의 인원이 상근 중 이다. 주된 사업은 장애인 근로자의 맞춤형 직업 배치, 직업 훈련, 보조 기술 장치 지원 및 개인 지원을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 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를 대상으로 고용보조금을 지급, 근로환경 개선 기금을 지원함으로써 장애인을 위한 표준 직장 구축을 추진한다. 장애인고용공단은 다양한 취업서비스를 통해 장애인이 지속적으로 함께 일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발표자
케롤라인 앨리슨 (Caroline Ellison)
캐롤라인 앨리슨 교수는 남호주 대학의 성장 발달과 노화 및 장애 관련 학과의 교수이자 교육자로서 호주와 동남아에서 장애 및 인적 서비스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고 종합적인 전문 실습 교육 및 연구 경력이 있다.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공동 연구원 및 협력자로 참여시킬 뿐만 아니라 학계 연구원, 주류사회, NDIS 및 글로벌 장애인 관련단체 활동에 직접 참여시켜, 전반적으로 사회의 장애 관련 정책에 장애인들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 하고 있다. 현재 호주 인구의 약 20-25%가 장애를 갖고 있으므로 모든 사회 시스템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사회 문화 전반에 대한 참여 및 고용은 인권 문제뿐만 아니라 생존에 대한 문제이다. 캐롤라인 교수는 장애인들의 삶의 질적 개선을 위해 복지, 고용, 도시 계획, 주거 환경 및 삶의 계획과 생애 마지막에 대한 선택, 그리고 예술, 스포츠 및 여가 시간 활용 등 개인 문제에 대한 다양하고 포용적인 사회적 지원 시스템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캐롤라인 교수는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활동 지원과 보호 그리고 성 건강, 가족 리더십, 사회적 역할 가치 평가 및 인력 개발을 중심으로 국제적 연구를 통해 모든 사람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사회적 변화를 위해 노력 하고 있다.
클레어 허츠슨 (Claire Hutchinson)
클레어 허츠슨박사는 장애와 노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혼합 방법 연구를 수행하는 사회학자이다. 클레어 허츠슨 박사의 연구는 소비자의 서비스 선호도, 결과 측정, 특히 삶의 질, 사회적 투자 수익에 중점을 두고, 직업 심리학자로서 사회적으로 불리한 환경의 구직자들과 함께 직업 재활 분야에서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장애인의 경제적 참여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지난 몇 년 동안 지적 장애가 있는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생생한 경험과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가 있는 청년들의 공개 고용 사례 조사를 포함하여 관련 주제에 대한 여러 연구를 수행했다. 현재는 주류 노동 시장에서 기회를 찾는 다양한 장애 학생들을 위한 고용 훈련 프로그램의 혼합 방법 연구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로비 윌리엄스 (Robbi Williams)
로비 윌리엄스는 심리학자로서 여러 국가의 장애, 건강 및 기타 복지 서비스 분야에서 30년 이상 일한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로비 윌리엄스는 사람과 기관의 포용적인 도움이 가치 있는 좋은 삶을 추구하는데 필요한 본질이라는 생각의 전환을 워크 프레임으로 제시한 ‘시민 지원 모델 (Model of Citizenhood Support)’의 저자이다. 로비는 현재 장애인 개개인과 시민권에 기반한 체계적인 권익옹호, 주거권 보장, 보조 기술 지원 및 자선 활동 등 세가지 분야를 수행하는 사회적 비영리단체로 JFA Purple Orange를 포함한 줄리아파 (Julia Farr) 그룹의 대표이사를 맡고있다.
줄리아 파 그룹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리사 고먼 (Lisa Gorman)
리사 고먼은 ‘고먼 (Gorman) 호주 패션브랜드’의 설립자이자 디자이너이다. 리사는 빅토리아 해안 마을인 워남불(Warrnambool)에서 4 딸 중 맏이로 성장했으며, 청소년기 보그와 엘르 잡지를 통해 영감을 받아 자신만의 개성 있는 의상 디자인을 만들기 위해 재봉틀과 함께 많은 시간을 보냈다.
18세에 간호학을 공부하기 위해 멜버른으로 이사한 후 리사는 간호학과를 졸업하고 로열 멜버른 국립 병원에서 8년 동안 간호사로 일을 했다. 간호사로 일하는 동안에도 리사는 자신만의 패션 브랜드를 구성하는데 관심을 놓지 않고 다양한 여행 경험과 연구를 통해, 1999년 Gorman 브랜드를 설립하였다.
지난 23년 동안 Gorman 브랜드는 개성 넘치는 패턴 디자인과 색상을 표방하는 호주 대표적 패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호주 전역 52개의 매장을 소유한 회사로 성장했다. Gorman은 지난 10년 동안 100명이 넘는 예술가, 디자이너 및 다양한 예술교육기관과 협력했으며, 가장 의미 있는 성과는 호주 예술가 Mirka Mora와의 컬렉션, 원주민 협력의 벤치마크를 설정한 Mangkaja 컬렉션, 그리고 Arts Project Australia (APA)와의 협업 프로젝트였다고 한다. 장애가 있는 APA소속 예술가들과 함께 52종류의 패션 컬렉션 2021년에 론칭했다. 작년 11월 리사는 크레이티브 디렉터 자리에서 물러나, Gorman 브랜드에서 쌓은 풍부한 경험과 창의적인 열정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다.
심 루틴 (Sim Luttin)
심 루틴은 멜버른에 기반을 둔 큐레이터로 2008년부터 APA (Art Project Australia)에서 갤러리 및 전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혁신적인 큐레이터 프로젝트를 육성할 뿐만 아니라 예술가, 상업 갤러리 및 예술 교육기관 간의 협업을 주선해왔다. 아트 프로젝트의 출판물, 작품 대여 및 이미지 라이센싱 프로그램등을 담당하고 있다. 심 루튼은 국제 플랫폼 Art et al의 창립 큐레이터이며 호주에서 지원되는 스튜디오 네트워크의 회원이었고, 국제 회의에서 아트 프로젝트와 그 예술가들에 대해 다양한 큐레이팅, 저술 및 발표하면서 전 세계를 여행했다. 심 루틴은 장애를 가진 다양한 예술가들이 현대 예술 및 문화 분야에 참여해 그들의 작품들을 전시하고 대중에게 노출되도록 지원하는 데 많은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있다.
수 로프 (Sue Roff)
수 로프는 예술 경영 분야에서 폭넓은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2009년부터 APA (Art Project Australia)의 전무 이사직을 맡고 있다. 이 기간 동안 APA조직과 소속 예술가들에 있어서 탁월한 스튜디오 작업 및 혁신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프로파일의 비약적인 발전을 주도했다. 호주 비즈니스 예술 재단(Australia Business Arts Foundation)에서 국가 관리자, 문화 개발 관리자, RACV에서 커뮤니티 관계 관리자, 멜버른 극장 컴퍼니 (Melbourne Theatre Company)에서 후원 관리자로 일했으며 호주 소녀 합창단(Australian Girls Choir)에서 국가 관리자로 예술 관리 경력을 시작했다. 프로젝트 개발, 기금 마련, 후원 및 마케팅에 풍부한 경험이 있으며, SF (Strange Fruit) 및 자선기금 단체인 VABT(Victorian Actor's Benevolent Trust)의 이사회 의장을 역임했으며 빅토리아 공공 갤러리 협회의 전 회장이다.
마이클 무이니 (Michael Mooney)
마이클 무이니는 지역에서 재배한 신선하고 제철 농산물을 가장 좋아하는 고객들과 지역 사회와 연결하는 가진 진취적인 사업가이다. 마이클은 청각 장애, 언어 장애 및 학습 장애를 안고 살고 있다. 그는 이전에 원예학을 전공했으며 야외 활동을 좋아하며 북쪽을 향한 넓은 앞마당이 있는 농산물을 재배하기에 이상적인 장소를 소유했다. 마이클은 Community Living Project의 Micro Enterprise Project를 통해 NDIS 지원금을 받았고 사업을 도와줄 비즈니스 지원을Enterprise Management Group에서 받고 있다. 현재, 마이클은 많은 견고한 정기 고객 기반을 구축했다. 그는 열정적으로 자신의 일을 즐기고 독립적으로 삶의 방식을 선택 할 수 있는 자영업에 만족한다. 무엇보다도 직접 재배한 갓 고른 농산물을 배달했을때 고객들의 높은 만족도와 긍정적인 반응을 보는 것이 가장 보람 있다고 생각한다.
준 알렉산더 (June Alexander)
준 알렉산더는 간호 및 건강 과학 대학의 장애 및 지역 사회 통합 부서의 교수이다. 준 박사는 발달 교육자로서 3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그녀의 이전 경험에는 모범 사례 SA 농촌 장애 서비스의 CO가 있습니다. 준 박사는 장애 직원과 발달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교육을 전문으로 합니다. 특히, 준 박사의 연구는 고용을 통해 발달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성인으로서의 결과에 중점을 두고 있다.
루스 렌트슬러 (Ruth Rentschler)
루스 렌트슬러 교수는 남호주 대학교 경영학과에서 근무하고 있다. 루스 교수는 예술과 문화 경영관련 연구학자이며, 국내 및 국제 문호예술지원금 저널 출판 및 국내 및 국제 연구 팀을 이끌면서 입증된 우수한 연구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연구원으로서 국제적 프로필을 개발하고 있다. 루스 교수는 호주무용극단 (Australian Dance Theatre) 이사회 의장이자 장애인극단, 노스트링스 어테치드 (The Board of No Strings Attached, Theatre of Disability)의 의장이며 남호주미술관의 현대 수집가 위원회에 있습니다. 루스 교수는 문화 예술 안에서 장애, 다양성 및 사회적 통합에 중점을 둔 국내 및 국제 산업 연구 및 보고서, 책과 학술지를 (예: Journal of Business Ethic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British Journal of Management) 출판했다. 루스 교수는 지역 사회에 대한 봉사에 대한 부총장 상, 최고의 박사 학위 감독자 상, Cut Red Tape Award 및 교육, 예술 및 지역 사회에 대한 서비스에 대한 호주 훈장과 같은 다양한 영예와 상을 받았다.
차정훈 (Jung Hun Cha)
차정훈이사는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장애인고용공단(KEAD)에서 28년 이상 근무한 상임이사로서 장애인의 취업 알선, 직업 훈련 및 다양한 고용주 지원 시스템을 포함한 장애 고용 정책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1996년 UNDP-KEA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선정되어 독일 교육 시스템을 경험하고 돌아와 한국 현장에 접목하기위해 노력했다. 차정훈 이사는 재활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사회적 경제학을 전공하는 박사 과정에 있다.
유은주 (Eun Ju Yoo)
유은주 박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KEAD) 연구위원이다. 유은주 박사의 주된 연구관심주제는 장애인 정책 연구 및 평가, 국제 비교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현재는 '장애 정책에 관한 교본'의 일부인 '일본, 대만 및 한국의 보호 작업장 정책 비교'라는 학술 소논문을 작성하고 있다. 유은주 박사와 동료 연구원들은 다음 단계인 '장애인을 위한 동아시아 고용 정책 모델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이진희 (Jin Hee Lee)
이진희대표는 현재 베어베터 회사의 공동 설립자이자 대표이사 이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친 후 동양경제연구소 연구원, HR컨설턴트, NHN 인사담당 등을 역임했다. 자폐증이 있는 아들을 키우면서 자폐인과 그들의 어려움에 대해 인식하고 자폐증이 있는 사람들을 지원함으로써,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기여하는 것이 이진희 대표의 꿈이 되었다. 2012년 베어베터를 설립해 꿈을 향해 발걸음을 내딛기 시작했다. 베어베터는 특히 발달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고용 기회를 제공하는 소셜 벤처로서 10년 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전역의 발달 장애인을 위한 안정적인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고용 프로젝트를 확장하기 시작했다.
김민양 (Alice Kim)
그래이프 랩 디자인 의 설립자이자 대표이사인 김민양 대표는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UX 디자이너였다. 한국에서 가장 인기 모바일 서비스인 카카오의 초창기 구성원이었고 카카오의 이모티콘 서비스는 회사와 많은 카툰 작가들에게 3억 달러 이상의 고수익을 창출했다. 영국 Kingston University에서 MSD(Master’s Sustainable Design) 석사 과정을 마친 후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전세계적인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로 결정하고 진로를 변경했다. 특히, 낭비되는 재료 업사이클링, 소외된 예술가 및 소수자에 중점을 둔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함의영 (Eui Young Ham)
함의영 대표는 고려대학교 응용경제학 석사를 마친 후 한국에 있는 유엔환경계획에서 협력기획팀장으로 5년 동안 일했고, 문자 해독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보다 쉬운 글과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를 개발하는 기업인 피치마켓 의 설립자이다. 피치마켓은 경계선 지능과 발달 장애를 가진 어린이와 청소년, 문해력이 부족한 사람을 포함하여 연령에 따라 일반인보다 '느린 학습자'를 대상으로 콘텐츠를 개발했으며, 시각 장애인이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 점자를 필요로 하는 것처럼 문자 해독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접근 가능한 독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피치마켓은 문자해독능력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잡지와 뉴스를 포함하여 읽기 쉬운 버전으로 매년 300개 이상의 출판물을 개발, 출시하고 있다.
Sturt Rd, Bedford Park
South Australia 5042
South Australia | Northern Territory
Global | Online
CRICOS Provider: 00114A TEQSA Provider ID: PRV12097 TEQSA category: Australian University
Flinders University uses cookies to ensure website functionality, personalisation and a variety of purposes as set out in its website privacy statement. This statement explains cookies and their use by Flinders.
If you consent to the use of our cookies then please click the button below:
If you do not consent to the use of all our cookies then please click the button below. Clicking this button will result in all cookies being rejected except for those that are required for essential functionality on our website.